• 사용 된 모든 이미지의 저작권은 Flight Rising에게 있습니다.
  • 문제 될 시 자삭하겠습니다ㅠ
  • 제 경험 + 참고를 바탕으로 적은 글이라 완벽하지는 않습니다. 

드래곤은 희소성에 따라 5가지 카테고리로 나뉩니다...만, 희소성은 설정상 플라 세계에 이 정도 분포되어 있다~일 뿐이지, 실제 플라 커뮤니티 내의 희소성 과는 다릅니다. 희소성은 교배 쿨타임(다음 교배기까지 기다려야 되는 시간), 교배를 통해 특정 종을 얻을 수 있는 확률, 그리고 전반적으로 특정 종을 획득 가능한 방법에 영향을 줍니다.

5가지 카테고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1. Plentiful (풍부)
  2. Common (보통)
  3. Uncommon (드문)
  4. Limited (한정)
  5. Rare (희귀)

하나씩 차근차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Plentiful _ 풍부

  • 처음 플라를 시작할 때 선택할 수 있는 스타팅입니다. 
  • Fae, Gardian, Mirror, Tundra 4종.
  • 교배 쿨타임은 15일.
  • 스타팅, 마켓(트레져), 게더링, 옥션, 유저 교환을 통해 얻을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 됩니다)


2. Common _ 보 통

  • Pearlcatcher, Ridgeback, Snapper, Spiral 4종.
  • 교배 쿨타임은 20일.
  • 마켓(트레져), 옥션, 유저 교환을 통해 얻을 수 있습니다.
  • 스타팅, 게더링으로는 얻을 수 없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 됩니다)


3. Uncommon _ 드문

  • Skydancer 1종.
  • 교배 쿨타임은 25일.
  • 마켓(트레져), 옥션, 유저 교환, 커뮤니티 활동/프로모션을 통해 얻을 수 있습니다.
  • 스타팅, 게더링으로는 얻을 수 없습니다.



4. Limited _ 한정

  • Imperial, Nocturne 2종.
  • 교배 쿨타임은 30일.
  • 마켓(트레져), 옥션, 유저 교환, 컨테스트, 특별 이벤트를 통해 얻을 수 있습니다.
  • 스타팅, 게더링으로는 얻을 수 없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 됩니다)


5. Rare _ 희귀

  • Coatl, Wildclaw 2종.
  • 교배 쿨타임은 무려;; 35일.
  • 마켓(잼), 옥션, 유저 교환을 통해 얻을 수 있습니다.
  • 스타팅, 게더링으로는 얻을 수 없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 됩니다)


자, 이제 대충 희소성/교배 쿨타임/획득 방법은 알았는데, 희소성이 어떻게 교배에까지 영향을 끼치는지 모르겠다! 싶으신 분들을 위해 간단히 교배의 확률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교배에 대한 더욱 자세한 내용(유전, 색, 알의 개수 등)은 너무 길어지기 때문에 다른 포스팅에서 다루겠습니다ㅠ

희소성이 교배를 통해 특정 종의 드래곤을 얻을 확률에 영향을 끼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 Rare + Plentiful = 99% Plentiful
  • Rare + Uncommon = 98% Uncommon
  • 부모의 희소성이 같지만 종이 다르다면 50:50확률
  • 부모가 같은 종이면 100% 같은 종

이런식 입니다. 물론 서로 희소성의 차이가 적을수록 복잡해지고 예상하기 힘들어집니다.

커뮤니티 유저들이 실험한 결과, 확률은 다음과 같다고 합니다.

 (출처:http://www1.flightrising.com/forums/gde/1123974)

그러니, Rare종을 얻고 싶으면 짝으로는 Plentiful보다는 같은 Rare가 좋습니다...만, 혈통주의를 지지하는 것은 절대 아닙니다. 내가 키우는 두 용이 너무 좋다. 하나는 Rare고 하나는 Common인데, 이 둘이 알을 낳고 그 해츨링이 자라는 걸 보고 싶다 하시면 종이 무슨 상관이고, 희소성이 무슨 상관이겠습니까. 희소성을 종, 나아가 용의 가치를 가늠하는 단일척도로 사용해서는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그렇다고 브리딩을 위해 희소성을 생각하시는 분들의 플레이 방법이 옳지 않다는 것도 절대 아닙니다. 종의 호불호는 개인적인 취향이고 다른 분들께 강제로 들이밀지 않는 이상, 존중받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브리딩을 통해 얻은 해츨링을 옥션에 팔아 트레져를 얻는 플레이 스타일도 애정이 없다는 둥 욕할 게 절대 아닙니다. 그 돈으로 더욱 마음에 드는 용을 얻거나, 심지어 부모용의 밥을 사고 레어를 넓히는 경우도 있으니까요.

희소성 관련해서 쓰려던 포스팅에 사족이 길어졌습니다만, 결론은! 남의 플레이 스타일이 어떻든 태클 걸 일은 절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남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이상 옳은 플레이 스타일, 옳지 않은 플레이 스타일은 없다고 믿습니다. 


이 포스팅에서 다뤄진 내용은 공식페이지

즐거운 플라이트 라이징 되시기 바랍니다^^ 


Posted by thfkqntRhc
,